서울신문 이사장님 인터뷰~~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열기

HOME

공지사항

서울신문 이사장님 인터뷰~~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6,923회 작성일 18-09-21 14:40

본문



서경석 예천연꽃마을 이사장
35년 전 그곳에 노인과 장애인, 고아들이 모여들었다. 누구든 받아주는 스님에 대한 소문이 돌면서 100명 넘는 사람들이 찾아왔다. 경북 예천군 법흥사는 부처님과 사람들을 함께 모시는 절이었다. ‘사람다운 삶’을 지향하는 복지법인 예천연꽃마을은 그렇게 시작됐다. 


예천연꽃마을은 지역민들을 비롯한 외부인들에게 개방적인 시설이다. ‘울타리를 만들지 말자’고 강조한 설립자 정안스님의 뜻을 이어 누구나 다가가고 함께할 수 있는 곳, 지역 공동체에 속한 시설을 만들어 왔다. 예천연꽃마을에 헌신하고 있는 서경석 이사장은 “시설 이용자들이 특별한 존재들이 아니라 지역에서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로 인식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 이사장은 30년 교직 생활을 접고 1996년에 서울에서 예천에 내려가 이제까지 예천연꽃마을을 지켜왔다. 예천연꽃마을이 추구하는 가치와 복지시설의 현재를 그에게 직접 들었다. 편집자 주
서경석 예천연꽃마을 이사장

▲ 서경석 예천연꽃마을 이사장

→예천연꽃마을을 이끌게 된 계기가 특별히 있으셨습니까.

-저는 여기에 오기 전에 서울에서 고등학교 교사를 하고 있었어요. 교직에 있었는데 이 연꽃마을을 시작하신 스님이 정안스님이신데 사실 제가 그분 동생입니다. 복지법인을 만들려고 행정을 볼 사람을 찾아다녔는데 쉽지 않다면서 저를 3년 동안 설득하더라고요. 서울에서 학교 그만두고 내려와야 하니까 처음엔 전혀 엄두가 안 났습니다. 가족들 반대도 심했고, 그런데 와서 보니까… 정말 기가 막히더라고요. 어떻게든 해야 할 것 같았어요. 고민을 하다가 1996년 6월에 내려왔습니다. 결정하고 나서는 가족들 난리가 났죠. 애들 문제도 있었고. 결국 저 혼자만 내려왔어요.

→당시 모습이 ‘기가 막혔다’고 하셨는데, 어떤 상황이었나요.

-예천연꽃마을은 처음에 시설로 시작한 곳이 아니에요. 1984년에 달랑 법당(법흥사)밖에 없을 때 정안스님께서 할머니 두 분을 모시고 생활을 했던 거죠. 그러다가 고아 둘이 와서 식구가 늘었고요. 그렇게 생활을 하다 보니 소문이 난 겁니다. ‘법흥사 가면 스님이 다 받아준다더라’라고요. 여기저기서 오셔서 10여 명이 모여 살게 됐습니다. 법당을 반으로 나눠서 한쪽에 부처님 모시고, 한쪽은 생활공간으로 해서 쓰셨다고 하더라고요. 그렇게 시작하다 보니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 된 겁니다. 전국에서 와서 어린아이를 문 앞에 버리고 가기도 하고, 장애인들도 모여들었어요. 복지시설이 잘 갖춰지지 않았던 시절이었잖아요. 건물도 없이 천막을 치면서 버티다가, 건물을 지어야겠다고 스님이 결심하고 전국을 다니면서 도움을 구했어요. 그렇게 1990년에 건물을 짓기 시작해서 1993년에 세워졌는데, 건물만 있다고 다 되는 게 아니잖아요. 인력 문제도 심각했고, 그로 인해서 생기는 문제들이 많이 있었죠. 그걸 보니까 법인 설립을 해서 국가 보조를 받는 것이 좋겠다고 저도 받아들이게 됐어요. 그래서 내려왔습니다. 

→처음에 그렇게 시작을 했다면 힘든 일이 많았을 것 같습니다.

-그때 아동이 30~40명 되고, 장애인이 약 40명 있었어요. 그 외에 분들이 어르신들이었죠. 다 같이 생활했습니다. 한 방에 10명씩 들어가고…. 건축할 때 쓰던 컨테이너 박스를 설치해서 방처럼 썼어요. 제가 내려오니까 스님께서 그러시더라고요. ‘여기서는 네가 모든 걸 봉사한다고 생각해라.’ 그러면서 월급을 30만원 받았습니다. 재원이 많이 부족한 상황이었어요. 스님이 전국을 찾아다니시면서 재정을 충당하셨습니다. 저는 법인 설립 작업을 하면서 정부를 열심히 쫓아다녔고요. 그러다가 노인시설로 보조금을 받기 시작하고 지금까지 이렇게 왔습니다. 

→복지시설을 혐오시설로 보고 갈등이 생기는 문제들이 종종 있는데, 예천연꽃마을은 어떻습니까.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연꽃마을은 출발이 조금 달랐잖아요. 스님과 함께 사는 고아들, 장애인들, 어르신들이었던 거예요. 그냥 ‘절 식구’였던 거죠. 그러니까 지역에서도 시설 개념으로 보질 않았습니다. 그리고 스님께서 강조하시는 게 있어요. ‘울타리를 없애라’라는 겁니다. 시설처럼 가둬놓고 외부인과 접촉을 차단하는 방식의 복지는 시대에 맞지 않아요. 그렇게 개방하고 만나게 되니까 주민들이 불편하게 여기던 부분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 또한 지역 공동체의 한 사람들로 서서히 받아들여지는 과정이었어요. 다른 시설에 비해서는 마찰이 적었습니다.

→외부인들에게 개방적이라는 점이 인상 깊습니다. 꾸준히 그런 활동을 하고 계신 건가요. 

-가급적이면 저희 프로그램도 주민과 함께하는 방향으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외부에서 봉사도 많이 오시고요. 오시는 분들에게 연꽃마을에서 생활하는 어르신들, 장애인들과 공동체로 살아간다는 인식을 가지실 수 있도록 하고 있어요. 사람은 행위를 제한하려고 하면 나가서 사고치고 싶은 마음이 커지잖아요. 누구나 그럴 텐데, 저희는 처음부터 잡아두질 않으니까 그런 사고가 오히려 적은 것 같아요. 또 저희는 안에 있는 분들의 가족들이 오시면 시설 거실 안에서 쉬어갈 수 있도록 개방하고 있어요. 오히려 ‘보시고 우리가 부족한 점이 있으면 말씀해주세요’라고 요청합니다. 우리끼리 잘한다고 해봐야 뭐가 나아지겠어요. 가족들이 보시고 지적해주셔야 개선이 되죠. 그리고 주민 사회에 자연스럽게 어울리기 위해서 5일장으로 열리는 장날엔 우리 시설 입주자들이 장터거리휴지 줍기 등 청소를 한 번도 빠짐 없이 15년 동안 시행해 왔어요.
예천연꽃마을 전경

▲ 예천연꽃마을 전경

→지금도 많은 분이 연꽃마을에 들어오려고 하신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현재 시설 상황은 어떤가요. 

-요청이 많은데 현재로는 제도적으로 막혀서 못 받는 안타까움이 있습니다. 정부 정책상 장애인 시설은 소규모 시설을 지향하고 있어요. 그래서 30인 이상 시설은 설치 허가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결원이 생겨도 새로 받지 못하고 줄여나가야 하는 상황이라서, 63명 정원인 저희 장애인 시설에 54명만 있습니다. 노인 시설 같은 경우도 제도적인 어려움이 있습니다. 장기요양보험제도가 생기기 전에는 지역에서 소외되고 가족 갈등으로 돌봄을 받을 수 없는 분들을 저희가 받고 있었는데, 지금은 그럴 수가 없습니다. 장기요양등급이라는 게 있어서 3등급 이상이 아니면 받을 수가 없습니다. 어르신들이 정말 사각지대에 놓여있어요. 저도 정부에 자주 얘기하는 부분인데 제도적으로는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극락마을 체육대회에 연꽃마을 입주자들이 동참해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 극락마을 체육대회에 연꽃마을 입주자들이 동참해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우리나라 복지 수준은 어느 정도 된다고 보시나요.

-예전에 비해서는 정말 많이 좋아졌습니다. 제가 1996년에 왔을 때에 비하면 정말 긍정적인 방향으로 달라졌죠. 하지만 아직도 복지선진국으로 불리는 나라들에 비하면, 이제야 과도기에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는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정말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는 제도와 시설이 되려면 정부나 지자체, 국민들이 관심을 더 가져야 한다고 봅니다. 

→특별히 관심을 가지고 계신 복지 이슈는 무엇인가요.

-장애인들의 일자리 창출이 정말 필요합니다. 시설에도 일할 수 있는 여건이 되는 친구들이 더러 있어요. 특수학교 전공반까지 다 마치고, 직업교육도 받은 인력들입니다. 그런데 일자리가 없어요. 사람이 일하는 보람을 느끼는 것이 삶에 있어서 얼마나 중요합니까. 그런 친구들이 내부 프로그램만 하면서 살아가고 있는 게 현실이에요. 저도 일자리를 창출하고자 여러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지역 농특산물과 연계해서 가공유통 산업을 지자체에 얘기하고 있는데 허가가 안 나요. 허가만 나면 전폭적으로 지원하겠다는 건실한 회사도 있는데 우선 지역에서 허가가 안 나니까 움직일 수가 없죠. 이게 장애인들 일자리뿐 아니고 지역 주민들 일자리도 같이 창출이 되는 건데…. 우려되는 부분도 있겠지만, 관리·감독을 그만큼 철저히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에 군수님도 새로 오셨으니까 다시 추진해 볼 생각입니다.

→복지시설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우리 사회에 제안하실 말씀이 있다면.

-시대가 달라진 만큼 생각도 달라져야 합니다. 노인, 장애인, 아동 등 대상과 관계없이 시설의 역할을 다르게 생각해야 해요. 과거에는 시설에서 의식주를 해결하면 끝이라는 생각이 있었는데 지금은 그런 시대가 지났습니다. 정말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도록 시설에서 역할을 해야 하는 시대입니다. 특히 인권에 더 민감해져야 할 필요가 있어요. 어떤 경우가 됐든 인권이 침해당하는 시설이 있어서는 안 됩니다. 일부에서 그런 문제가 있어서 자꾸 부정적인 측면이 보도가 되는데, 너무나 안타까워요. 시설 운영자들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하지만, 시설에서 독자적으로 할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개방이 되어야 하고, 지역과 함께하는 시설로 발전해 가면 인권문제도 자연스럽게 없어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정태기 객원기자 jtk3355@seoul.co.kr

[출처: 서울신문에서 제공하는 기사입니다.]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80918039001#csidx16d03136972122fabb7919b2f4727ee onebyone.gif?action_id=16d03136972122fabb7919b2f4727ee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